히브리어에도 전치사가 존재한다. 다만 다른 언어와 달리 전치사가 많지 않다는 것이다.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전치사가 많지 않다는 것은 하나의 전치사가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는 것이다. 문장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다양하게 해석된다는 것이다. 이것 역시 쉽지 않은 것이다. 오히려 몇 가지 정해지면 좋지만... 초보자에게는 다양하게 해석되는 전치사가 만만하지 않은 것이다.
둘째로 히브리어 전치사 중 명사와 분리되지 않는 전치사가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말처럼 전치사가 명사에 붙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다. 물론 그렇지 않은 전치사도 있다. 즉, 전치사의 형태가 분명하게 표현되는 것이 있다는 것이다.
처음 말한 명사의 접두된 전치사는 3가지가 있다. 이것을 세 개의 비분리 전치사라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명사에 접두된 전치사는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1) 완전 모음을 지닌 자음 바로 앞에서 비분리 전치사는 단순 쉐어와 함께 놓인다는 것이다.

2) 단순 유성쉐와를 갖는 자음 앞에서 비분리 전치사는 히렉과 함께 놓인다는 것이다. 이것은 두 개의 유성쉐와가 나란히 노일 수 없기 때문이다.

3) 비분리 전치사가 복합쉐와를 지닌 처 자음으로 시작되는 명사에 접두될 경우 그 전치사는 복합쉐와에 상응하는 단모음을 취한다. 하텝-파다 앞에서 파다를, 하텝-세골 앞에서 세골을 하텝-카메츠 앞에서 카에츠-하툽을 취한다는 것이다. 복합쉐와 앞의 모음은 모통 메텍과 함께 쓰인다.

예외적으로 하텝-세골을 지닌 알렙 앞에서 전치사는 세례를 받아, 알렙의 하텝-세골은 떨어져 나간다는 것이다.

4) 비분리 전치사가 정관사를 지닌 명사에 접두될 때 정관사의 헤가 떨어져 나간다는 것이다.

5)비분리 전치사가 음조 음절에 접두될 때, 전치사의 모음은 흔히 카메츠가 된다. 이러한 규칙은 특별히 'a' 부류의 모음을 지닌 단음절 단어들에 적용된다는 것이다.

그 외 접두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전치사가 있는데, 이것은 다음에... 헉헉..이것만으로도 힘들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어를 히브리어로 번역하기, 히브리어 단어 찾기를 하려면 (0) | 2022.07.17 |
---|---|
히브리어 형용사 성과 수에 대하여 (0) | 2022.07.16 |
히브리어 후음 문자와 정관사에 대하여 (0) | 2022.07.14 |
히브리어 원래 모음이 없었다는 데... (0) | 2022.07.13 |
히브리어의 특성 마켚, 중복점, 무성쉐와 (0) | 2022.07.12 |